이슈와 담론/종교(Religion)

성경은 환단고기인가? (1) 출애굽기 개론

첼린저스 2016. 7. 4. 19:13

모세의 출애굽은 성경 내에서 이스라엘 민족의 형성과 이집트로부로부터 탈출한 기록을 이야기하고 있는 문서입니다. 천주교에서는 탈출기(출애급기라고 번역했지만, 지금은 탈출기로 바뀜), 개신교에서는 출애굽기라고 하는데, 저는 그냥 개신교 표현대로 출애굽기라고 하겠습니다. 


정확히 결론부터 말하자면, 역사학계에서는, 출애굽기는 위서가 아닌, 엄연한 사료이나, 신빙성은 그닥 존재하지 않는 역사적 문헌이라 보고 있으며, 삼국 유사정도의 문헌으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즉, 출애굽 사건이 원래는 없었던 사건이었는데 이것이 마치 있었던 사건인 것처럼 출애굽기 저자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 사건이라는 의미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성경에 나와 있는 이스라엘의 모습을 세계사 안에서 추측할 수 있는 자료들이 있기 때문이고 뿐만 아니라 당시의 시대적 정황을 들여다 보면 크고 작은 민족집단이나 종족집단들이 대규모로 한꺼번에 혹은 소규모로 흔하게 이리 저리 유동하면서 거주지를 옮겨 다녔다는 증거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요셉의 아버지 이스라엘이 바로 그 예입니다. 


우선 출애굽은 당시 근동 정황상 상당히 신빙성 있는 주장으로 이를 뒷바침하는 강력한 추론은 출애굽 사건이 있었을 무렵에 고대 근동의 상황은 여러 종족들이 이동하며 거주지를 옮겨다녔었다는 것과 아울러 여호수아서와 사사기를 통해서도 어느 정도 입증되는 것처럼 보입니다.  




모세 (Moses) - 이스라엘의 선지자, 이집트식 이름을 가지고 있다.




출애굽기는 언제 쓰여졌나요?


현대 학자들은 출애굽기의 작성 연도를 기원전 5세기 정도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토라(모세 5경)은 모세가 썼다고 우깁니다만, 이건 신명기 내에서 모세가 죽는 것으로 반박이 가능할 정도로 신빙성은 없는 주장으로, 대체적인 의견은 BC5세기나 6세기 정도에 쓰여졌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힌트가 되는건 출애굽 당시, 히브리인이라는 정체성은 없었다고 보는것이 타당할텐데, 출애굽기에서는 과도할 정도로 이스라엘의 민족성을 강조한다는 것에 있습니다. 우리 나라를 예로 설명하자면, 원 간섭기에 각종 한국의 신화와 역사를 섞은, 민족감정을 고취시키기 위한,삼국 유사가 나왔고 일제 강점기에 (삼국유사에 비할 바는 되지 않습니다만), 환단고기나 규원사화같은 위서들이 나왔죠. 이와 같이 출애굽기도, 바빌론, 페르시아에게 식민 통치를 당할 당시 가나안인, 또는 이스라엘인들의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용도로 나오지 않았나, 예상하는 것입니다. 


출애굽은 정말 일어난걸까?


윗 문단에도 설명되어 있겠지만, 출애굽이 일어나는 시대에서는 가나안(팔레스타인)지역과 수많은 지역에서 이집트로 이동하는 사람들이 많았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출애굽기에 묘사된 기본적인 상황, 즉 야곱의 가족들이 정착한 것처럼 이민 집단이 가나안에서 이집트로 내려와 이집트 동쪽 국경의 삼각주 지역에 정착한 현상은 고고학적인 발견과 역사기록 문서에 의해서 충분히 확인되는건 물론이요, 당시 힉소스가 삼각주 지역을 지배한 적도 있다는 증거도 존재합니다. 


후기설(출애굽이 18왕조에 시작되었다는 설)의 주된 근거로 요셉이 존재할때가 힉소스 왕조이고, 히브리 민족이 탄압을 받을때가 람세스 2세가 존재하던 토착 이집트 왕조인 19왕조라는 것을 감안하면 충분히 가나안 출신 민족들이 왜 이집트에서 탄압을 받았는지 어느정도 설명이 가능합니다, 즉 힉소스의 앞잡이라는 오명을 썼을지도 모른다는 것입니다.


다만 출애굽이 한번만 일어났다고 단정할 수 없는 정황이 있습니다. 장정만 60만 (총인구 환산시 200만 정도 된다고 합니다, 물론 당시 이집트 인구가 500만을 안 넘어가는 시기에서 이 인구는 신빙성이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이 되는 이스라엘 민족이 한꺼번에 그 작은 시나이 반도를 40년이나 헤매고, (혹자는 사우디아라비아 어딘가라고 주장합니다만. 사우디도 40년이나 헤매기에는 작죠, 학술적인 증거도 없습니다)  대기타다가 얼마 안되는 황무지인, 기근이 들어 많은 사람들이 떠났던 그 팔레스타인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 우기면서 쾅 점령하진 않았겠죠. 이건 사사기를 봐도 알겠지만, 사사기에서는 전면전을 벌여 갑자기 가나안을 정복했다는 근거를 부정하는 가장 큰 근거를 초반부에서 제시합니다. 


즉 장정만 60만인 인구를 상징적으로 본다 할지라도, 이들은 한꺼번에 나온 것이 아니라, 무력 투쟁, 또는 평화 이주 등으로, 자연스럽게 형성된 집단이라고 보는것이 맞습니다, 가나안에서 힉소스의 앞잡이로 몰려 짬짬히 탈출해온 온 가나안(팔레스타인) 이민자와 아크나톤의 유일신 개혁이 뒤집히면서 19왕조에 의해 탄압받던 "유일신을 믿던 히비루" 집단들이 이집트에서 쫒겨난 공통적인 기억을 가지고 유일신 신앙을 가진 이스라엘을 서서히하였을 것이라고 여겨지는 것입니다. 


하비루라는 집단은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히브리의 어원으로 보고 있는데, "이방인"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으며, 고대 근동 전역에 퍼져 있으면서 어느 안정된 사회질서에 뿌리박지 못하고 권리를 빼앗긴 변두리 계층, 즉 밑바닥 계층을 통칭하는 말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들은 가난 때문에 고용병이 되거나 또는 시민생활의 질서 밖에서 약탈자나 강도떼가 되어 살아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18왕조 아크나톤의 종교개혁이 유일신과 소통을 강조함으로서 사제 계급과 지방 귀족들을 누르려고 했던 것을 유추하여 보았을때, 아크나톤은 이집트 다신교를 이집트 일신교로 바꾸면서, 하비루나 하층민들, 민중들을 종교개혁의 중심으로 세웠고, 하비루 집단들 중에서 몇몇은 아크나톤에게 호응을 했겠죠.


결국 19왕조 들어 신앙이 회귀하고, 아크나톤과 투탕가멘같은 18왕조의 파라오들이 기록말살형을 받을 정도로 금기시 되었음을 보았을 때, 하비루 집단을 이끌었던 모세는 아크나톤 시절의 유일신을 섬기던 사제였다는 유추도 가능합니다. 덧붙여,아크나톤의 종교개혁 시대에는 수인(동물+사람)그림으로 신을 표현하는 것을 금지하고, 오직 해와 손 모양의 빛으로 표현하였던 것을 보았을때, 유대교의 금송아지나 동물 우상 혐오가 아크나톤의 유일신교와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봅니다. 즉 모세는 정치적인 목적으로 하비루 집단과 이집트 탈출을 감행하고, 바로 그 부분에서 파라오와 갈등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또한 하비루는 문헌상으로 도적떼나, 용병, 떠돌이 집단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아, 모세의 주 지지기반이 "무장세력(군대)" 였음을 감안하면 충분히 말이 되죠. 불평들을 모조리 칼로 틀어막고, 금송아지를 섬기던 사람들을 모조리 죽이고, 후계자 역시도 무장세력 중에서 선출되었다는 것을 감안해봐도 히브리인들이 단일민족이었다기 보다는 언제 흩어질지 모르는 중구난방의 세력이었고, 이 역시 지파가 갈렸음을 암시하는 내용이라는 것이죠.


정리하자면, 출애굽기는 힉소스 부역자로 억울하게 몰려 이집트에서 쫒겨나거나 수백년에 걸쳐 가나안으로 도망간 집단들의 공통된 기억과, 정치적 소용돌이에서 도망쳐 나온 하비루 집단들의 역사의 짜집기라는 것입니다. 전기설 (힉소스 부역자설)과 후기설(람세스 2세-하비루)의 증거가 공존하는 이유 역시, 바로 이스라엘을 형성한 큰 두 집단의 공통된 기억을 짜집기한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