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우리나라나 대부분의 헌법에 보장된 “종교의 자유” 라는 조항은, 상당히 애매한 것으로서, 국가가 종교의 자유를 어떻게 제한해야 하는지, 또는 어떻게 보장해야 하는지 갑론을박이 나오는 조항중에 하나입니다. 현대 들어서 확립된 종교의 자유는 수많은 논쟁 끝에 결정된 것으로, 근대 법제가 가장 먼저 확립된 미국이나 프랑스에서 확립이 되었습니다. 이는 수많은 이슈에서 종교와 국가가 부딫치는 일이 근대 사회가 확립된 유럽이나 미국에서 일어났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최근 종교와 시민사회의 갈등이 부각되었지만, 대부분 미국의 선례와 법리를 따르는 경우가 많았죠, 영국의 경우에는 “우호적 정교분리” 정책을 취하는 국가로서 성문 헌법이 없고, 영국의 국왕이 잉글랜드 교회(영국 전체는 아님)의 수장을 겸하..